대기원시보
스페인 국립장기이식기구 대표 “장기판매 묵인한다면 약육강식 세계로 후퇴하는 것”
[中 강제장기적출반대서명 한국인 가장 많아] 기사 읽어보기 

스페인 국립장기이식기구 라파엘마테산즈 대표 인터뷰

스페인 국립장기이식기구 라파엘 마테산즈(Rafael Matesanz) 대표. (사진=Nathalie Paco)

 

10여 년 전부터 중국병원들은 웹사이트에서 장기 가격을 내걸며 호객행위를 하고 있다. 5만에서 15만 달러, 그것도 생체 장기를 일주일 안에 제공받을 수 있다고 말이다. 장기를 구하지 못한 이들이 아직도 중국으로 여행을 떠난다. 출처가 불분명한 장기라도 이식받기 위해서다.


스페인은 2010년 이후, 장기가 불법적으로 나왔다는 것을 알면서도 어떤 방식으로든 이런 종류의 장기를 알선하거나 선전하는 자에게는 징역 3년에서 12년 형이 선고된다. 세계적으로 유일한 법안이다. 그렇다고 장기를 구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스페인은 체계적인 장기기증 시스템을 확립해 장기기증을 촉진시켰다.

 

결국 장기기증 숫자는 늘어났고, 불법 장기매매와 이식관광은 사라졌다. 장기기증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이끈 스페인 국립장기이식기구 라파엘 마테산즈(Rafael Matesanz·사진) 대표는 “수요가 없으면 공급도 없는 법”이라며, 장기이식관광을 막기 위한 전례 없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장기밀매와 관련된 2010년 개정안은 어떻게 나오게 됐나?


“20년 동안 이 문제를 고민해왔다. 장기밀매와 관련된 전 세계적인 문제는 모든 국제단체들과 선진국이 고민하는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미국, 이스라엘, 일본과 EU등 장기의 실제 수요자(구매자)가 있는 국가는 실제로 어떤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다.

 

나는 이것을 스페인 정부에 90년대부터 제안해 왔고, 유럽의회에서 발언도 했지만, 실질적인 영향을 끼치진 못했다. 그러던 중 중국에서의 간 구매와 관련된 보고서가 언론에 보도된 것이 법 개정의 계기가 됐다. 어떻게 한 시민이 중국으로 여행가서 장기를 살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최고의 보고서였고, 이는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 당시 나는 이 문제를 트리니다드 히메이네즈(Trinidad Jiménez) 보건부장관과 논의했고, 국제사회에 유일한 개정법을 소개할 기회를 얻게 됐다.

 

그래서 중국으로 장기를 구하러 갔던 스페인사람들은 책임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이는 다른 어떤 국가에서도 없던 일이었지만, 나중에는 이것이 가야 할 올바른 방식이라고 생각하는 전문가들 때문에 여러 국제포럼에서 스페인의 법 개정은 많은 관심을 끌었다. 이 법은 실제로 누군가를 벌하려는 것이 아니라 방지하는 성격이 강하다.”

 

-세계보건기구나 EU가 스페인과 같은 변화를 장려할 거라 생각하나?


“당신이 이 문제와 관련해 스페인의 입장을 설명하면, 일반 사람들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사안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 즉, 의사나 장기이식관련자들로 들어가면…(그렇지 않다.) 나는 이식관광을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는 그들이 놀라울 따름이다. 해외에서 장기를 구하려는 불쌍한 환자들을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내가 이 사안에 대해 논의했던 국제적 포럼에서 알게 된 사실이 있다. 궁극적으로 장기이식 법 개정을 늦추는 요인은 각 나라의 관련전문가들이라는 것이다. 그들은 해외장기이식이 아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보인다. 심지어 환자에게 해외장기이식을 추천하고 있었다.”

 

-적어도 유럽 차원에서라도 스페인 국민들이 스페인의 법망을 피해가는 것을 막거나 다른 나라에서의 이들에 대한 처분에 관한 협조가 있어야 하는 게 아닌가?


“나는 이것을 하루아침에 바꿀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장기밀매나 장기이식관광, 당신이 뭐라고 부르든, 이것의 근본적 원인은 ‘불균형’이다. 우리가 세계이식학회에서 얻은 2011년 최근 자료를 보면 전 세계의 장기이식건수는 11만 2000건이다. 전 세계적 수치에 비하면 적은 스페인의 대기명단만으로 추정해 봐도 매년 백만 명 이상이 장기를 필요로 한다. 우리는 이 사람들 중 최대 10%만이 장기를 이식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만약 이렇게 되면, 세상에는 부유층과 저소득층이 있기 마련이고, 이는 장기 밀매를 위한 완벽한 조건을 형성한다. 그리고 적어도 국가가 이 사안에 대해 엄중한 의사를 밝히지 않으면, 이는 통제하기 어렵다. 왜 그런가? 장기밀매를 묵인하는 것은 약육강식의 시대로 후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미국에는 검증된 장기를 매매하는 것을 옹호하는 사람들과 단체가 있다. 하지만 나는 항상 내 입장을 ‘장기밀매는 무관용(절대 있어서는 안 되는 것)’이라고 밝혀왔다. 이는 참을 수 없는 수준이며 인간으로서 최고로 타락한 행위다.”

 

-중국의 장기밀매에 대해 어떤 인상을 받았나?


“‘인상’이라는 표현이 정확한 것 같다. 거기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기는 매우 어렵다. 무엇보다 중국으로부터 받은 마지막 자료는 2010년 자료다. 2011년부터 중국은 더 이상 자료를 제공하지 않았다. 나는 그 이유가 무엇인지 확신할 수 없다. 이는 이해하기 힘들고, 이런 태도는 전혀 중국정부에 득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단지 그들의 활동(장기이식건수)에 관한 자료를 요구한 것이지 장기의 출처에 대한 자료를 요구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중국은 두 가지 일을 했다. 하나는 사형수 장기적출을 줄이겠다는 것, 다른 하나는 중국으로 장기이식을 받으러 오는 외국인들을 제약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두 가지 더, 장기기증희망자들을 위한 등록소를 설립하고, 전례 없던 국가 장기 분배 시스템을 만들었다.

 

내 생각에 이것은 단지 보여주기 위한 것 같다. (중국에 대한) 국제적인 인상, WHO가 가진 인상은 ‘중국은 변화하고 있지만, 그것이 해야 하는 것에 비해 너무 느리다’는 것이다. 중국 중앙 정부에 대한 내 인상은 그들이 변할 수 있고 실제로 이 문제를 줄이려는 방향으로 변화를 시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중국의 타락한 지방 병원에서 일어나는 일은 통제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장기이식관광을 반대하기 위해 스페인 국립 장기이식조직은 어떻게 대응했나?


“2007년, 데이비드 킬고어와 데이비드 메이터스가 쓴 ‘중국 파룬궁 수련생 장기적출 혐의에 관한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에서 2006년 사이 4만 4000건 이상의 출처가 불명확한 장기이식수술이 있었다고 한다. 이 문제는 모든 장기의 출처와 목적지를 알아내는 것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의약품을 누가 제조했고, 어디를 통과했으며, 최종 목적지가 어디인가와 같은 정보는 장기이식에 필수적이다. 하지만 이 방면에서 국가가 실패한다면, 그 나라는 그것을 통제하고 있다고 말할 수 없다. 우리는 중국에서 얼마나 많은 장기가 이식되고 있는지조차 알지 못한다. 분명하게 통제되고 있는 국가가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국가도 있다. 하지만 나는 정상화를 위해선 투명성을 확보해야 하고, 투명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통제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스페인=루이스 바디아 기자 



<저작권자 © 변화하는 세상을 보는 새로운 시각 <大紀元>.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