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원시보

성공은 배워서 이루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소질을 얼마나 계발하느냐에 달려있다. 제자의 소질을 귀하게 여긴 어느 스승의 사려 깊은 이야기를 소개한다.

오랫동안 고향을 떠나있던 대만의 한 졸업생이 타이중에 있는 모교를 방문해 선생님을 찾았다. 퇴직을 앞둔 선생님은 "너는 언제 졸업했니?"라고 물었다. 선생님은 자신을 거쳐 간 제자가 너무 많아 그 졸업생을 기억하지 못했던 것이다.

“23년 전에 졸업했습니다!"

그러나 선생님은 여전히 기억하지 못했다.

모교 선생님을 찾아간 제자의 작품(사진=pinteres)

 

"선생님! 어릴 때 친구들이 저를 ‘아기 원숭이’라고 불렀어요. 왜냐하면, 제가 아주 높은 나무에 기어 올라가길 좋아했으니까요. 한번은 학교 건물 지붕까지 올라갔는데 선생님이 저를 구하시려 구름사다리 소방차를 부르셨습니다!"

"아! 이제 기억난다! 너는 책 읽기를 싫어하고, 숙제도 곧잘 빠뜨리고 공부에는 관심이 없었지. 그래 지금은 뭘 하고 지내니?"

“건축업을 하고 있습니다. 높은 건물에 철골 구조를 조립하는 노동자입니다.”

"직업에 만족하니?“

“예. 매우 만족합니다. 20~30층까지 올라갈 용감한 사람들이 별로 많지 않아 제 연봉이 높은 편입니다. 1달 수입이 교사의 1년 치 급여와 같아요.”

선생님은 놀라워하면서 "정말 좋다! 너무 좋아”라며 매우 기뻐했다.

그는 "나는 대만 최고의 건축가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선생님은 학업에 관심이 없는 제자들을 질책보다는 관심과 사랑으로 보살펴 장래 사회에서 자리를 잡도록 자신감을 느끼게 해 주셨다. 선생님의 깊은 가르침에 감사할 뿐이다"라고 말했다.

이 이야기는 자신의 힘과 잠재력, 의지력을 계발할 때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위험한 직종의 근로자는 급여가 아주 높다. (사진=Zing.vn)

 

고대 사람들은 "장인(匠人, 뛰어난 기술자)이 가장 아름답고 존경받을 만하다“라고 했다.

많은 부모가 자녀들의 성공을 위해 학습을 강요하고 압력을 가하는데, 이는 간접적으로 자녀가 가진 재능을 약화시킬 뿐이다. 사람들은 올바른 환경에 있을 때만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 부모들은 이러한 환경을 만들고, 새로운 동기부여를 해야 한다. 씨앗도 올바른 환경에서 재배될 때에만 싹이 트고 꽃이 피며 열매를 맺는 법이다.

학업에 관심이 없지만 회화, 시, 음악, 운동 또는 기술, 수공예품과 같은 기술을 가진 아이들이 많이 있다. 학교에서 제대로 공부를 하지 않아 학습 능력이 떨어지고 선생님께 칭찬보다 꾸중을 더 많이 받은 개구쟁이일지라도 나중에 자신에게 맞는 직업을 찾는다.

많은 사람이 자신의 단점을 걱정하며 소수의 사람만 자신의 장점을 더 많이 생각하고 개발한다. 자신을 낮추지 말자. 누구에게나 잠재력은 있다. 기꺼이 자신을 용납하고 자신에게 기회를 주자.

 

이지영 기자  

<대기원시보>http://www.epoch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