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제국은 기독교 박해로 멸망했다
[밍후이왕]
목록
1. 예수 살해
2. 네로황제 로마에 불 지르고 기독교 신자를 박해
3. 아우렐리우스와 엔터니 대 역병
4. 데키우스 황제와 ‘키프레안의 대 역병’
5. 최후의 발광과 참회
6. 군사 탄딩
7. 역사적 경시
2. 네로황제 로마에 불 지르고 기독교 신자를 박해
3. 아우렐리우스와 엔터니 대 역병
4. 데키우스 황제와 ‘키프레안의 대 역병’
5. 최후의 발광과 참회
6. 군사 탄딩
7. 역사적 경시
다른 사람의 성공과 실패를 자신의 거울로 삼으며 역사를 거울로 삼아, 역대 왕조의 흥망성쇠를 관찰할 수 있다. 역사의 교훈은 언제나 계속해서 재연되면서 후세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워 주었다. 기독교 초기의 역사를 펼쳐보면 한 장면 한 장면이 모두 마음을 놀라게 하고 넋이 뒤흔들리게 하고 있는데, 그런 옛일들이 오늘의 인류에게 증명의 깨우침을 주고 있다.
1. 예수를 살해
기원전 64~17년, 카이사르와 그의 생질, 손자는 점차 공화제를 폐지하고 고대 로마제국을 건립했다. 기원전 33년경 제왕 통치를 이어받은 유태인 지역사람들은 유태교 제사장을 통해 예수를 모함하는 고소를 제기했다. 이들의 압력을 견디지 못한 고대 로마총독은 예수에 대해 문죄의 고문을 가했고, 결국 유태인들의 여론에 따라 예수를 십자가에 매달아 못을 박았다. 이때부터 기독교 신앙에 대한 박해가 시작됐으며, 역사적인 악몽이 시작된 것이다.
2. 네로황제, 로마에 방화하고 기독교 신자를 박해
서기 54년 네로가 로마의 황제로 즉위했다. 네로는 로마역사상 가장 잔인하고 황음한 황제였다. 걸핏하면 살인을 일삼았는데, 생모와 형제들, 두 아내까지 죽였다. 기원 64년 네로는 황궁을 증축하려고(당시 황궁 주변의 민가를 철거하기 어려워) 로마 시내에 불을 지르고, “기독교도들이 방화를 했다.”는 유언비어를 날조하여, 로마의 민중들로부터 박해를 받도록 죄를 뒤집어 씌웠다. 이로 인해 기독교 신자가 대량으로 학살당했다. 심지어 그들을 로마사람들이 관람하는 격투기장에 던져 넣어 맹수들에게 물려 찢겨죽게 했는데, 로마사람들이 지켜보며 부르짖는 속에서 기독교 신자들이 죽어갔으며, 기독교 신자를 불쏘시개와 함께 화원기둥에 묶어놓고 불을 질러 야외 파티의 횃불로 삼기도 했다.
이 발광적인 박해는 네로황제와 로마인들에게 하나의 화근을 심어 놓은 것이다. 서기 65년 고대 로마에 역병(후세 의학자는 중증 학질로 인정)이 폭발적으로 창궐했고, 기원 68년 폭정에 항거하는 민중봉기(起義)가 일어나 네로는 도망 중에 자살했는데 그 때 나이가 31세였다.
3. 아우렐리우스와 ‘안토니 대 역병’
로마의 후임 역대 제왕들은 여전히 계속해서 기독교를 박해했다. 그들은 신앙을 박해하면 나라, 인민, 자신에게 악보를 가져다준다는 것을 믿지 않았고, 그 전의 역병이 하늘의 경고임을 더욱 믿지 않았다. 기독교는 줄곧 불법적인 것으로 취급되어, 어떤 지방장관은 엄하게 탄압하거나 심지어 학살하기까지 했으며 또 어떤 관원은 눈감아 주기도 했다. 박해의 강도가 시기에 따라 느슨했다가 때로는 박차를 가하거나 하면서 300년간이나 기독교에 대한 박해가 지속됐으며, 그에 따라 로마를 휩쓰는 역병의 망령도 사라지지 않았다.
서기 161년 16대 로마황제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Marcus Aurelius Antonius)가 즉위했다,후세 사람은 그를 현명한 군주, 철학가, 군사전략가라 부르긴 했지만 그가 일으킨 기독교에 대한 대 박해는 그의 비극적인 운명을 정해 놓았다. 아시아, 구라파, 아프리카 등 3대 주를 횡단하던 고대 로마제국의 황금시대는 그의 손에서 무너졌다. 이는 중국 5대시기 후의 주황제 채영(柴榮)과 아주 흡사하다. 채영 역시 후세에 ‘영명한 군주’로 불렸고, 전투공로가 대단했으나, 역시 신앙을 박해(채영은 전국적으로 ‘멸불’했다)했으며, 역시 전쟁 중에 병에 걸려 급사했고, 나라를 망쳤다.
네로의 박해는 단지 로마시내에서였지만 아우렐리우스는 전국적으로 기독교를 탄압하며 말살하려고 했다. 그는, “기독교신자의 가산을 고발자에게 귀속시켜준다.”는 공고를 내어 전 국민이 기독교를 수색하고 고발하도록 회유했다. 로마정부는 각종 혹형으로 기독교신자가 신앙을 포기하도록 강요했고, 신앙을 포기하지 않으면 목을 자르거나 격투기장의 맹수에게 넣어 찢기어 죽게 하면서 이 광경을 사람들에게 재미로 구경하게 했다.
서기 166년 한 차례 대 역병(페스트)이 창궐해서 전국을 휩쓸었는데, 역사상 이를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성을 딴 “안토니 역병”이라 부른다. 사서에 기재된 내용을 보면 몸서리쳐 진다. “매장하는 사람이 없어 시신은 길바닥에 방치되어 썩었는데, 시신은 배가 부풀어 올랐고, 크게 벌린 입에서는 짙은 고름이 홍수와도 같이 뿜어져 나왔으며, 눈알은 빨갛고 손은 위로 높이 치켜들었다. 사체위에 사체가 겹쳐져 쌓여 있었고, 길모퉁이, 거리, 정원에서, 그리고 교회당에서 시체들이 온통 썩고 있었다. 해상에는 옅은 안개 속에 선박이 떠 있었는데, 그 죄악적인 선원들 역시 분노한 하나님의 심판으로 모두 역병에 걸려 죽었으므로, 배는 파도위에 떠 있는 묘지로 변해버렸다."
인구통계자료의 연구에 의하면 ‘안토니 역병’의 평균 사망률은 7~10%, 도시와 군대는 약 13~15%였는데, 16년 동안 기승을 부렸다고 한다. 기원 169년 아우렐리우스와 함께 로마를 공동으로 통치했던 루키우스 베루스(Verus)는 군부대에서 역병으로 죽었고, 기원 175년에 아우렐리우스 역시 역병으로 죽었다.
인구통계자료의 연구에 의하면 ‘안토니 역병’의 평균 사망률은 7~10%, 도시와 군대는 약 13~15%였는데, 16년 동안 기승을 부렸다고 한다. 기원 169년 아우렐리우스와 함께 로마를 공동으로 통치했던 루키우스 베루스(Verus)는 군부대에서 역병으로 죽었고, 기원 175년에 아우렐리우스 역시 역병으로 죽었다.
4. 데키우스 황제와 ‘키프레안의 역병’
서기 249년 데키우스 발비누수Decius balbinus)가 즉위했다. 그때 거대한 로마제국은 이미 위기가 겹쳤다. 그는 위기를 반전시키려는 목적으로 전국적으로 전례가 없는 신앙적 도발로 박해를 가하기 시작했다. 법률을 제정하여, “사람마다 모두 반드시 로마의 신상과 로마제왕 상에 제사를 지내고, 그 사실을 증명하는 정부의 증명서를 발급받아야 하며, 그 증명서를 소지 하지 않은 사람은 사형에 처한다”는 포고령을 내렸다.
이는 기독교를 향한 계획적인 박해였다. 형식상에서 기독교신자의 신앙에 대한 모독이었다. 기독교신앙은 다른 신(바로 불교의 ‘불이법문’과 같음)을 모시지 않으며 승인하지도 않는다. 이는 정부가 법령형식으로 기독교의 교규와 계율적 신앙을 훼멸시키려는 술책이었던 것이다. 수많은 기독교신자들이 견정불이한 자세로 로마정부에 굴복하지 않고 처형당했다.다음 해 역병이 다시 발병하여 창궐했다. 이번 역병은 기독교의 카르타게 주교인 키프레안(Cyprian)의 이름을 붙여 ‘키프레안 역병’이라고 불린다.
데키우스 황제는 즉위한 지 2년 만에 전사했으며, 이때의 역병은 근 20여 년간 창궐하면서 2,500만 명이 죽었는데, 역사상 사망자 수가 가장 많은 역병 중의 하나였다. 로마에 역병이 최고조에 달할 때는 매일 5,000명이 죽어나갔다. 그러므로 군대의 전투력은 크게 감소됐으며, 270년에 퀸틸루스 황제도 역병으로 죽었다.
역사상 천리를 믿지 않고 함부로 하는 그런 사람은 스스로 총명한 체 하면서 자신이 못된 짓을 해도 천벌을 받지 않는다고 여겼지만, 결과적으로 모두 같은 전철을 밟았으며 후세에 심각한 교훈을 남겼다.
5. 최후의 발악과 참회
박해에 직면해 기독교 신자는 견인불굴 했으며,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들은 고난 속에서 여전히 사람들에게 선을 권하고 도를 말했으며(勸善講道), 예수의 가르침에 따라 원수를 가엾게 여겼고 심지어 사형되기 전에도 여전히 그들을 박해한 사람을 위해 기도해 주었다. 대 역병 중에서 세인은 병이 전염될까 두려워 앓고 있는 친인을 문 밖에 쫓아냈지만, 기독교 신자들은 오히려 자신을 돌보지 않고 거리에 나가서 환자를 보살피고 병을 치료해 주었으며, 그들에게 복음을 전파(기독교 진상)하고 기도해 주었으며, 사망자에게 장례를 치러 주었다. 이와 같은 신성(神性)의 체현은 사람더러 정신(正信)의 위대함을 보게 했고, 정부의 기독교에 대한 모함이 시장을 잃게 했다.
기독교는 박해당하는 가운데서 반대로 발전 장대해졌고 기타 종교의 질투와 미움을 받게 되었다. 기독교는 사람들에게, 역병은 당국이 정신 신앙자를 박해하여 하늘의 징벌을 당한 것이라고 알려 주었지만 다른 종교와 일부 권력을 휘두르는 자들은 도리어 역병과 역병으로 조성된 국가 쇠락을 기독교란 이 한 무리 ‘이교도’(異教徒)의 존재로 돌리면서 끊임없이 중상모략하고 정부를 종용해 그들을 박해하게 했다. 드디어 기독교 사상 최대의 박해를 초래하게 되었다.
서기 292년, 재위한지 8년 되는 디오클레티아누스(Diocletianus)는 로마를 동부와 서부로 나누고 매 부에 정, 부 두 제왕을 두고 땅을 나누어 통치하게 했는데 즉 4제왕이 함께 통치하여 제국이 붕괴될 위기를 완화하려 했다. 당시 기독교는 이미 600여만 명으로 발전했고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부인과 많은 시자들마저 모두 기독교 신자였다.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재위한 초반에는 기독교 신자에 대해 그래도 너그러웠고 후에는 자신을 ‘주와 신(Dominus et deus)’으로 봉했다. 그러나 기독교 신자는 자신이 신앙하는 주와 신만을 승인하였기 때문에 이는 제왕의 권위와 체면을 건드렸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사위 갈레리우스(Galerius)는 부왕이었는데 기독교를 없애버리라고 줄곧 그를 꼬드겼다. 303년,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역사상 있어본 적 없는 탄압을 시작했는데 기독교 서적을 불사르고 교회당을 허물며, 재산을 몰수했을 뿐만 아니라 신앙과 직접 선을 그었는바, 기독교를 믿으면 곧 잡혀 혹형 시달림을 받을 것이며 신앙을 포기하지 않으면 사형에 처한다고 했다.
그때 로마정부는 도시 구역에 죽은 사람을 매장하는 것을 엄금해서 사람들은 도시 밖에 매우 많은 좁고 길다란 굴을 팠다. 기독교 신자들은 바로 이런 미궁과도 같은 묘도 속에 숨어 있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대량의 군대를 파견하여 묘혈을 파헤치고 수색 체포하였으며 근멸하여 후환마저 없애버리려 했다.
2년을 발광한 후,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건강이 악화되어 퇴위했다. 서기 305년, 갈레리우스가 제왕이 되었고 흉악한 박해는 또 6년을 지속했다.
서기 310년, 갈레리우스는 괴상한 병을 얻어 극도로 고통스러웠다. 고통 속에 1년을 시달린 후 그는 끝내 깨닫게 되었다. 그는 하느님이 정말로 존재한다고 외치면서 진심으로 참회했다. 그는 병상에서 조서를 내려 그의 동 로마 관할 구역 내에서의 기독교 금지령을 취소했다. 기독교 신자에 대한 모든 박해를 중지하고 기독교 신자의 집회를 회복하였으며, 아울러 기독교에 귀의했다. 며칠 후 갈레리우스(Galerius)는 홀가분한 가운데 세상을 떠났다.
6. 콘스탄티누스
콘스탄티누스의 부친은 로마제국 서부의 부제(副帝)였다. 최고 제왕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신자에 대한 정책에 직면해 그들 부자는 모두 동의하지 않았다.
서기 306년 부친이 병세한 후, 콘스탄티누스는 통일 전쟁을 시작해 312년에 서 로마를 통일했다. 313년, 그는 동 로마의 제왕 리시니아누스(Licinianus)와 함께 밀라노 칙령에 서명해 더는 기독교를 박해하지 않으며, 몰수한 재산을 돌려준다고 했다.
이로서 고대 로마의 300년 동안의 신앙에 대한 박해가 실패로 끝났다. 이 기간, 견인, 선량, 무사(無私)적인 기독교 신자는 유언비어와 박해 가운데서 진상을 전하고 정의, 정신의 씨앗을 뿌리면서 기독교를 부단히 발전 장대 시켰다.
콘스탄티누스 제왕의 조각상
서기 323년, 콘스탄티누스는 동로마 제왕 리시니아누스를 물리치고 로마 제국을 다시 통일했다.
하지만 고대 로마제국의 운명은 이미 만회할 수 없게 되었다. 필경 300년 신앙을 박해하고 신자를 학살한 죄악은 너무나 컸던 것이다. 콘스탄티누스가 사망한 후 제국 분열로 또 다시 혼란과 위기에 빠져 나중에는 붕괴로 가게 되었다.
7. 역사의 계시
기독교 신자를 잔혹하게 박해한 고대 로마 제왕, 그들의 액운은 중국 역사상 불교를 박해한4명 황제(삼무일종 멸불)와 결말은 비슷하거나 심지어는 같다.
자고로 신앙에 대한 박해는 여태껏 성공한 적이 없다. 근년에 중공 장쩌민(江氏) 집단은 또 스스로 총명한 체 ‘진선인(真善忍)’의 파룬따파(法輪大法) 신앙자를 박해하는데 마치 고대 로마의 기독교 신앙 박해를 복제한 듯하다. 단지 더욱 위선적이고 더욱 은폐적이며, 더욱 사악할 뿐이다. 세뇌, 체포, 감옥, 혹형 등 각종 박해가 모두 제거하는 목적에 도달하지 못하자, 중공은 대규모의 파룬궁 생체 장기 적출을 시작하여 폭리를 챙기고는 시체를 화장하여 증거를 없앴다. 하늘을 경악케 한 이 죄행이 국제적으로 폭로된 후 국제 사회의 일치된 비난을 받았다. 대량의 증거와 증인에 맞서 중공 당국은 할 말이 없게 되자 결사적으로 소식을 봉쇄하고 죄행을 덮어 감추었다.
1999년 7월부터 중공은 전국적인 힘으로 파룬궁 신앙을 박해했고, 2003년 1월에 이르러 역병이 발견됐는데 후에 ‘사스‘로 진단됐다. 그때의 공포스런 장면은 중국 사람에게는 기억이 생생하다. 강대 무적이던 고대 로마 제국은 역병 중에서 쇠망하고 붕괴됐다. 오늘의 역병 유전자 변종 속도는 백신의 대응을 훨씬 초과하고 있으며, 역병의 칼은 또 한 번 눈앞에 닥쳤다.
누가 역사 규율의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겠는가? 중공은 건국 이래 각종 운동을 발기해 8000만 명의 생명을 앗아갔다. 이번의 신앙을 박해한 운동에서 놀랍게도 생체에서 장기를 적출하고 비밀리에 살해했는데 죄악이 극도에 달했다. 이는 어떠한 하늘의 징벌을 자초할 것인가? 인민에게 어떠한 재난을 가져다 줄 것인가? 폭정적인 중공은 어떻게 막을 내릴 것인가?
고대 로마의 비극은 후세 사람에게 경고한다, 정법 정신을 박해하면 하늘의 징벌을 자초할 것인즉 매 사람에게 화가 미칠 것이다, 왜냐하면 사람마다 모두 박해 중에서 박해를 도왔기 때문이다. 진정으로 청성하게 진상을 대한 사람만이 비로소 비극과 액운에서 벗어날 수 있다. 오늘 또 다시 역사의 관건 시각으로 되돌아왔다. 수난 중의 대법은 매 사람에 영향 주며, 매 개인의 태도는 자신의 운명, 실패와 성공, 흥성과 멸망, 악과와 복, 치욕과 휘황을 결정할 것이며, 모두 일찍 역사에서 시연한 것으로서 또한 미래에서 모두 실현될 것이다. 끝.
문장발표 : 2014년 5월 1일
문장분류 : 시사평론
'명혜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의회, 281결의안 가결해 중공의 생체 장기적출 중단 요구 (0) | 2014.08.14 |
---|---|
명(名)을 다시 말함 (0) | 2014.08.13 |
업보는 6대에 전하고, 복록은 800년을 누리다(사진) (0) | 2013.12.27 |
탐욕스런 우매한 견해 (0) | 2013.12.24 |
현장법사가 생사의 위기에서 자비를 나타내자 강도들 천벌 받아 (0) | 2013.11.21 |